Connect with us

금융용어

마이너스통장 개념과 상환방법에 대해서 완벽하게 알아보도록 해요

Published

on

마이너스통장의 개념은 무엇일까?

마이너스통장 개념과 상환방법을 알아보는 포스트

마이너스통장은 정해진 금액 범위 내에서, 내가 꼭 필요로하고 있는 금액만큼 돈을 인출할 수있고, 사용한 금액의 대한 이자만 부담하면 되는 금융상품입니다.

언제어디서든지 근처에 있는 ATM기기나 은행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있기때문에, 마통 상환방법이 나온지 얼마되지 않았을때 당시에는 엄청난 인기를 끌기도 했었던 상환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편리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는 큰 함정이 숨어있습니다.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죠.

치명적인 단점들

연장이 불가할때의 상황

마이너스통장 상환방법은 만기일시상환방식을 따릅니다. 그리고, 보통 내 신용도가 좋으면, 약정기간은 기간단위 별로 연장을 할 수있습니다만, 불가피하게 연장을 못해버리면, 원금 전액을 한번에 지불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불리한 금융거래

5천만원 한도의 상품을 가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예를들어, 5천만원 중 단돈 백만원 밖에 이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대출이력 상에는 5천만원을 전액을 빌렸다는 상태로 취급해버립니다. 그러므로, 다른 금융상품을 이용하게 되었을때, 한도금액에 대해서 불리하게 작용됩니다.

무엇보다 제일 치명적인 단점은 이 것

통장 안에 있는 돈이 내 돈인 것같은 느낌을 만들어버립니다. 그래서, 습관처럼 마통을 사용해버리고, 만기일이 다가와서는 원금 전액을 갚아야한다는 사실에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Advertisement

자금 계획이 철저하신다거나, 조절을 잘하시는 분이라면, 괜찮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마통 방식의 달콤한 유혹에 빠지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비교적 높은 금리적용

다른 신용대출 상품에 비해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 편입니다. 연0.5%정도에서 높으면 연1%까지 가산될 수있습니다.

마이너스통장 상환방법 이해하기

먼저 말씀드려보면 복리이자가 적용됩니다. 하루이자의 기본공식은 사용금액X연이율/365일입니다. 그리고, 이자가 어떤 식으로 계산되는지, 다음과 같은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2천만원 한도의 상품을 천 만원사용했고, 연4%로 산출되어 이용하는 중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Advertisement

10,000,000X4/365의 하루이자 공식이 나옵니다. 10,000,000X4는 40만원이며, 1년에 총 납입하게되는 이자입니다. 40만원에서 365일을 나누게 되면, 1095원란 결과가 나옵니다.

여기서 한달이 30일이니까, 1095X30을 하게되면 32850원이란 결과가 나오는데, 이는 한달 이자총액의 값입니다.

천만원을 이용하게되면, 매달 32850원을 만기일까지 내셔야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일부의 원금을 갚게 되면, 매달 납입하는 이자의 부담은 줄어들게됩니다.

Advertisement
Continue Reading
Advertisement
Click to comment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금융용어

CSS등급이란 무엇인가요? 이는 신용평가시스템에 의해 결정됩니다

Published

on

CSS등급이란 어떤 뜻일까요?

CSS등급이란

CSS등급이란, 은행 자체적으로 내 신용의 대해 평가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은행권마다 기준점이 다르기때문에, 나이스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가지고 있더라도, CSS등급이 낮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CB등급이 높더라도 은행권 CSS등급 평가시스템에 의해, 적용되는 금리가 높게 나올 수있고, 한도가 적게 잡힐 수있습니다.

CSS등급 산출기준

등급을 책정하는 기준 또한, 각 은행권마다 기준점이 다릅니다. 대표적으로는 고객의 직장정보와 가지고 있는 현재 자산, 신용점수, 인적사항, 소득현황, 연체이력, 대출현황, 카드이용내역 정도입니다.

이는 계좌를 개설할때, 무언가 상품을 가입했을때, 조회를 했을때, 이 과정에 있어서 신용조회 동의페이지를 거치게 됩니다. 신용조회 페이지에서 동의를 누르는 순간, 내 인적사항 등 여러가지 신용정보가 은행 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은행권은 내 CSS등급을 점검하고, 적용시킵니다.

CSS등급별 대략적인 신용상태 알아보기

1등급

1등급은 신용상태가 제일 우수한 등급이며, 신용관리가 우수한 고객에게 적용됩니다.

2등급

1등급보다는 한 단계 밑으로, 각 은행권에서 기준으로하고 있는 신용도 중 상위권에 있는 고객이 받을 수있습니다.

Advertisement

3등급

신용점수가 약간 우수한 상태를 의미하며, 앞으로 있어서 신용관리가 안정적일 것이라는 상태를 뜻합니다.

4등급

보통인 수준의 단계이며, 신용카드를 가끔씩 사용하는 수준이라고 봐도 됩니다. (중간단계)

5등급

보통인 수준이며, 대출상품에 대해서 연체한 이력을 가지고 있지않은 상태입니다.

6등급

6등급 역시 중간 정도의 수준이나, 신용도에 있어서 약간의 위험이 발생할 수있는 단계입니다.

Advertisement

7등급

연체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 7등급을 부여하는 편입니다. 하위권 수준이며, 불안정한 단계입니다.

8등급

7등급보다 더 낮은 신용도의 단계입니다.

9등급

바닥 수준의 신용도를 가진 고객에게 부여하는 등급이며, 금융상품이용할때 많은 제약이 따르는 등급이기도 합니다.

10등급

제일 밑 단계인 신용등급입니다. 대출상품 거래시 제일 많은 제약을 받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Advertisement

대출상품 신청할때 참고해볼 부분

예를들어, 농협은행에서 CSS 8등급을 부여받았다고 할지라도, 기업은행이나 다른 은행에서 더 높은 CSS등급을 부여받았을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농협에서 대출승인 거절을 받으셨더라도, 다른 은행의 상품을 신청하게되면 약간의 승인가능성 있을 수있습니다.

이는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각 은행권마다 CSS등급시스템의 기준은 다릅니다. 그러므로, 한 곳에서 부결이 나셨다면 다른 곳을 시도해보도록 하세요.

관련 대출상품들 확인해보기

직장이 없으신 분들도 금융서비스 이용할 수있는 상품들

무직자분들도 전세자금 마련할 수있는 방법

Advertisement

CSS등급을 하락시키는 요인들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과다 이용

신용카드는 신용관리에 있어서 독이 될 수있고 득이 될 수있습니다.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득이 될 수있지만, 너무 과다하게 현금서비스를 이용한다거나, 한도대비 50%이상 자주 사용한다거나 해버리면, 오히려 신용점수를 하락시킵니다.

대출 상환금액 잦은 연체

제때제때 갚는다면 좋은 영향을 끼치지만, 연체를 하게된다면, 약 5년 정도간 연체이력을 내 신용정보에 저장을 해두기때문에, 추후에 신용거래를 할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만아니라, 신용점수에 있어서도 치명적인 하락의 영향을 끼칩니다.

2금융권이하의 대출서비스이용

시중은행의 경우는 큰 영향은 없습니다만, 2금융권이하의 대출상품을 이용하게 되면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아마, 왜 악영향을 끼치는지 궁금증을 남기시는 분들이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각 신용평가회사들은 고객마다 대출상품이용의 현황과 흐름을 통계로 저장해두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2금융권 대출상품 이용자들은 1금융권 상품이용자보다, 연체율이 높다는 통계가 있기때문에, 해당 통계의 이유로, 신용점수를 큰 폭으로 하락시킵니다. 그러므로, 돈이필요할땐 되도록이면 시중은행을 통해서 자금을 마련하는 쪽이 좋습니다.

Continue Reading

금융용어

원금균등상환이란 무엇일까요? 뜻을 완벽하게 이해해보세요.

Published

on

원금균등상환이란 무엇일까요?

원금균등상환이란
원금균등상환이란 무엇일까요? 뜻을 완벽하게 이해해보세요.

원금균등상환이란 단어를 직설적으로 풀이해본다면, 원금을 균등하게 납부하겠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를 실제 대출상품 상환방식에 적용시켜보면, 달마다 납입하는 원금은 만기일까지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게되며, 이자의 경우는 가면갈수록 줄어드는 점이 있습니다.

부가사항

만기일시상환방식의 뜻은 이쪽,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의 뜻은 이쪽을 참고하세요.

[ninja_charts id=”7″]

원금균등상환의 이자흐름을 보면 첫회차에는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되지만, 가면갈 수록 줄어들고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그리고, 이자가 적어짐에 따라, 월 상환금까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 원리금균등상환과 비교했을때 어떤 차이가 있나?

원리금균등상환은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낮아지고, 원금이 높아지는 방식입니다. 원금균등상환하고는 이자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진다는점이 비슷하지만, 처음에 납입하는 원금이 낮기때문에, 최종적으로 납입하는 총이자가 원리금균등상환 쪽이 더 많이 부담하게됩니다.

Advertisement

그러므로, 중도상환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원금균등상환 쪽이 맞다고 보고있고, 월납입금액이 일정하고, 자산운영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원리금균등상환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결과적으로는 나의 상황 별, 계획 별로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신다면, 유용하게 대출상품을 이용할 수있습니다.

만약, 5백만원을 1년동안 원리금균등상환방식으로 이용하게 된다면, 상환금액은 얼마일까? (금리는 연 3%로 가정)

[ninja_charts id=”6″]

이런 흐름의 결과를 얻을 수있게 됩니다. 연3%가 적용되었기때문에 총 이자 납입료는 81,622원이며, 1년동안 총 상환금액은 5,081,622원이 됩니다.

Advertisement
Continue Reading

금융용어

만기일시상환이란 무슨 뜻인가요? 이자 납입의 장점은?

Published

on

만기일시상환이란?

만기일시상환이란의 대한 뜻 설명
만기일시상환이란 무슨 뜻인가요 이자 납입의 장점은

지난 원리금균등상환방식 포스팅에 이어서 만기일시상환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기일시상환방식이란, 쉽게 풀이해보면, 만기일에 일시불로 상환하겠다는 방식이라는 뜻입니다.

그럼, 실제로 대출상품에서는 어떤식으로 작용하게될까요?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약정기간동안, 매달 정해진 이자만 납입하다가, 약정기간이(만기일이) 끝나는 마지막달에 빌린 원금을 한번에 지불해야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만기일시상환이란 방식은 어떤 상품에 좋은가요?

아무래도, 만기일에 원금을 한번에 갚아야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생활비용도로 해당 방식을 이용하기에는 조금 그러한 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할때, 어딘가에 투자할때, 사업자금마련할때 용도로 선택하는 편입니다.

주의해야될점이 있나요?

원금을 마지막 달에 모두 갚아야되기때문에 그 원금을 한번에 지불할 수있는 무언가의 대채방안을, 신청하기전에 미리 계획을 세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이 가장 주의해야될 사항입니다.

대표적인 단점들

앞서 언급드렸다싶이, 원금을 마지막달에 한번에 갚아야합니다. 그래서, 마지막달에 굉장히 많은 부담이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다른 상환방식에 비해 이자를 많이 내게됩니다.

Advertisement

만기일시상환방식의 이자흐름

예를들어 제가 2천만원 금융상품을 연4%정도로 1년동안 약정을 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납입금액을 확인해볼 수있습니다.

[ninja_charts id=”6″]

매달 이자는 66,667원을 내야합니다. 그리고 마지막달에는 20,066,667원을 한번에 납입해야됩니다. 그럼, 2천만원을 빌렸을때 1년동안 총 발생하는 이자합계는 799,992원이 되겠습니다.

마치며

위 그래프에서 알 수있듯이 매달 부담하는 비용이 적기때문에 어떻게 보면 달콤한 유혹에 쉽게 빠질 수있는 상환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맨 마지막 개월에는 막대한 금액을 한번에 지불해야하기때문에, 되도록이면 원금을 최대한 지킬 수있는 용도로 사용하는 쪽이 좋을 것 같습니다.

Advertisement
Continue Reading

금융용어

원리금균등상환이란 어떤방식일까요? 그리고, 장점과 단점, 뜻을 완벽하게 알아보고 가세요.

Published

on

원리금균등상환이란 무엇일까요?

원리금균등상환이란?
원리금균등상환이란? 뜻 알아보기

각 은행별 대출상품들 안내문을 보면, 다양한 상환방식을 볼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만기일시상환,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이 총 세가지가 있습니다. 각 상환방식 별로 장단점이 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리금균등상환이란에 대해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리금균등상환의 뜻을 알아보자

원리금균등상환 중, 원리금이라는 단어는 원금과 이자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균등은 균일하다 혹은 동일하다란 의미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환은 갚는다라는 뜻입니다. 이를 총 정리해보면, 원금과 이자의 합을 매달 균등하게 납부를 하겠다라는 뜻이 됩니다.

어떤 장점들이 있을까?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의 장점은 매달 납입하는 금액이 일정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금운영 계획표를 짜볼 수있고, 실행할 수있습니다. 왜냐하면, 월 대출납입료 마다, 추가되는 금액이나 마이너스되는 금액이 없기때문입니다.

[ninja_charts id=”4″]

위 그래프와 같이, 월납입료 비율을 10이라고 가정해보면, 첫달에 납입하는 이자 비율이 9, 원금이1, 개월수가 지나면 지날 수록, 이자비율이 낮아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Advertisement

이렇게, 이자와 원금을 균등하게 배분을 함으로써, 월납입료가 동일하게 맞춰지게됩니다. 그래서, 자금운영을 계획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원리금균등상환방식 쪽을 선택하신다면,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다!

원리금균등상환의 최고단점은 원금균등상환방식보다 총이자 부담금액이 크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자 면에서는 불리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인데, 중도상환할때 조금 불리한면이 있지않은가 싶습니다. 초반부터 납부하는 원금비율이 낮기때문입니다.

이제 원리금균등상환이란에 대해서 알아보지 않으셔도 되겠죠?

예시로, 천만원 대출을 원리금균등상환으로 갚게된다면?

예시로, 대출금액이 천만원이고, 기간은 1년, 연이자율 10%라고 가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아래의 표처럼 월납입료가 계산됩니다.

Advertisement

[ninja_charts id=”5″]

보면, 처음에는 이자납입료가 높고, 원금이 낮고, 가면갈수록 이자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실 수가 있죠. 그리고, 최종적으로 월상환금은 일정합니다.

Continue Reading

Trending